분류 전체보기(331)
-
6. 편집
'편집(editing)'이란 촬영된 영상을 영상 문법과 기획 의도에 따라 방송 시간에 맞게 줄이는 작업이다. 스튜디오에서 녹화하거나 야외에서 촬영한 비주얼 이미지와 인터뷰를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잘라 붙인다. 보통은 편집 순서를 기록한 편집 콘티에 맞춰 영상과 음향을 붙인다. 편집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리듬감'이다. 편집에는 숏의 병치(juxtaposition of shots), 숏의 타이밍(timing the shots), 숏의 변환(transitional device) 등 세 가지 요소가 고려된다.1. 편집의 3요소1) 숏의 병치 '병치(juxtaposition)'란 대조적인 이미지를 한자리에 모아두는 것을 말한다. 편집자가 선택하는 숏과 이들을 연결하는 순서가 시청자가 당신의 메시지를 지각하는 데..
2013.02.01 -
5. 촬영
촬영은 연출의 파트너이자 생계수단이다. 촬영이 없이는 연출자는 자신이 원하는 그림을 뽑아내서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가 없다. 그러나 '연출자가 촬영에 관한 제반 사항을 면밀히 알 필요가 있을까?'라는 문제가 제기되면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라는 답이 맞을 것이다. 뛰어난 카메라맨이 반드시 뛰어난 연출자가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대신 연출자는 뛰어난 상상력과 현실의 표현 능력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그렇다 하더라도 연출자는 카메라의 표현 방식과 표현 능력 그리고 조명의 표현 방식에 대해서는 정당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영상에 대해 제작진과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있는 그대로의 현실은 연출의 세계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연출자가 활용 가능한 것..
2013.02.01 -
4. 스토리텔링
스토리텔링이 원활하게 되면 듣는 사람의 기분이 좋아진다. 듣는 사람의 기분이 좋아진다는 것은 말하는 사람이 무슨 말을 하는지 그 의도와 뜻을 분명히 이해한다는 것이다. 나는 어머니 무릎에서 듣던 옛날 이야기를 아직도 기억한다. 할머니로 변한 호랑이를 피해 해와 달이 되는 남매 이야기. 들어도 들어도 지겹지 않던 그 이야기. 이처럼 명료한 스토리의 그 옛이야기 구조를 기본 틀로 삼아 거기에 살을 붙이는 것이 가장 뛰어난 스토리텔링이라고 생각한다. 이 기본 논리는 시사·다큐멘터리·예능·드라마 등 어떤 포맷에도 통한다. 문제는 어떻게 살을 붙일까 하는 것이다. 잘 만든 스토리야말로 상대방에게 어떤 주제를 전달할 때 쓸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스토리는 구성의 틀과 같이 전달되는 내용의 형식이 된다. ..
2013.02.01 -
3. 구성
'구성'이란 '무엇을 어떤 순서로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일이다. 구성안만 봐도 그 작품이 될 것인지 어떤지를 바로 알 수 있다. 그리고 구성은 생물과 같아서 항상 변한다. 그 변화를 긍정적으로 가져갈 것인가, 부정적으로 가져갈 것인가는 오로지 연출자와 작가의 창의적 능력에 달렸다. 구성이란 연출자가 프로그램을 통해서 말하고자 하는 내용의 논리적 연결이다. 프로그램을 보면서 전체적으로 무슨 얘기를 하려고 하는지 모른다면 일단 구성이 잘못된 것이다. 잘된 구성은 전체 기획 의도가 가장 잘 묻어난다.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획 의도에 따른 구성을 먼저 해야 한다. 구성을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 첫째는 건물을 짓는 것이다. 잘 만든 프로그램은 설계도에 맞게 지은 건물과 같다. 설계도가 엉성하..
2013.02.01 -
2. 창의적 연출
연출이란 연출자의 감정적, 지적, 예술적 가치를 프로그램에 투영시키는 전 과정을 말한다. 문제는 연출자가 보여주고자 하는 세계(reality)가 실제 존재하는 현실과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훌륭한 연출자는 그 간격을 최대한 줄이려고 할 것이다. 창의적인 연출이란 그 간격을 얼마나 독창적으로 표현하느냐에 달려있다. 연출자의 창의성 개발은 단순히 능숙한 테크닉을 단련시키는데 있지 않다.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창의성은 면밀한 의도나 계획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가슴으로부터 나온다"라고 말했다. 가슴으로 느끼는 연출이란 과연 무엇일까?우리나라 방송계에서 흔히 프로듀서를 PD라고 줄여서 부른다. 그러나 하는 일을 보면 프로그램 기획과 제작비 집행을 하는 프로듀서(producer)와 카메라로 영상을 만드는 연출을 ..
2013.02.01 -
1. 창의적 기획
'기획'이란 새로우면서 현실 가능한 프로그램을 위한 초안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수많은 PD와 작가들이 기획안을 만들어 낸다. 방송국의 봄·가을 정기 개편 때 가장 많은 기획안이 쏟아져 나온다. 성공적인 기획안이란 방송 프로그램으로 채택되거나 프로그램으로 제작하기로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한 단계 더 나아가 이렇게 해서 제작된 프로그램이 시청률 측면에서나, 시청자들의 기대치에서나, 방송사의 목표에서나 예상 수준 이상을 해냈을 때 이를 성공적인 기획안이라고 부를 수 있다.1. 성공적인 기획의 조건하늘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이것이 기획할 때 명심해야 할 가장 중요하고 현실적인 핵심 사항이다. 따라서 기획을 할 때는 항상 성공한 프로그램을 모니터하고 그 기획을 변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천상천하 유일한 기획..
2013.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