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경제

🇺🇸 美 재무장관 “한국과 무역협상 마무리 단계” — 2025년 10월 최신 정리

반응형


🇺🇸 美 재무장관 “한국과 무역협상 마무리 단계” — 2025년 10월 최신 정리

“We are about to finish up with Korea... the devil’s in the details.”
—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미국 재무장관
🗓 발표일: 2025년 10월 15일

2025년 10월 15일,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가 CNBC 인터뷰에서
“한국과의 무역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그는 “세부 조율이 남아 있다(The devil’s in the details)”며,
완전한 타결은 아직 아니다라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 출처: 로이터통신 보도


🔍 협상 배경과 주요 흐름

  • 미국은 2025년 들어 **무역적자 축소와 제조업 리쇼어링(reshoring)**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이에 따라 한국, 일본, EU 등 주요 교역국들과 재협상을 추진 중이죠.
  • 특히 한국은 지난 7월 이후 **투자 패키지(약 3,500억 달러 규모)**와 관련된 협상을 이어왔습니다.
  • 미국은 **직접 투자(direct investment)**를 원하지만,
    한국은 대출·보증 중심의 간접투자 구조를 제안하고 있습니다.
    📰 관련 기사: Reuters - “Huge progress” 보도

⚖️ 핵심 쟁점 4가지

🧩 쟁점 📌 핵심 내용 🔎 현재 상황

1. 투자 구조 미국은 직접 투자, 한국은 대출·보증 방식 제안 실무 협의 중 (대출안에 미국이 긍정적 반응)
2. 외환 스왑 논의 대규모 투자 유입 시 원화 강세·변동성 우려 한국, 미국에 스왑 라인 협의 중
3. 관세 및 무역 조정 미국의 관세 완화 또는 재조정 가능성 고위급 회담 예정 (10월 중순 워싱턴)
4. 이행 보증 장치 투자 약속 불이행 시 제재조항 필요 법률 검토 단계

📌 출처:


🗓 향후 일정 및 발표 가능 시점

  • 이번 주, **IMF·세계은행 연례회의(워싱턴)**에서 양국 고위급 관리들이 비공식적으로 접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한국 정부는 무역부·기재부 합동 대표단을 미국에 파견 중이며,
    협상은 10월 하순~11월 초 공식 타결이 유력한 흐름입니다.
  • 다만 아직 “합의 서명 일정”은 공식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

긍정적 영향

  • 미국 시장 접근성 확대
  •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수출 환경 개선
  • 원화 안정 및 외환 스왑 체결 시 금융시장 안정 기대

⚠️ 우려 요인

  • 대규모 투자로 인한 재정 부담
  • 원화 강세 시 수출 채산성 악화
  • 미국 요구 조건(관세·시장 개방 등)에 따른 산업 구조 조정 압박

🔮 정리하며

📌 정리하자면,
이번 협상은 **“타결 임박”**이라는 표현이 가능할 정도로 진전은 분명하지만,
**세부 조율(특히 투자 구조와 관세 조정)**이 남아 있습니다.

양국이 IMF 회의 기간 내 협상을 마무리하면,
2025년 11월 중순 이전 공식 발표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만큼 향후 2주간의 움직임이 핵심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